grasshopper(10)
-
Rhino text 정보 가져오기
라이노에 있는 텍스트를 글라스호퍼에 가져오기 위한 방법은 기본 컴퍼넌트로는 쉽지 않습니다. HUMAN 이라는 라이브러리를 설치하면 사용이 용이합니다. HUMAN의 파이프라인과 텍스트 오브젝트를 사용하면 가져올 수 있습니다. 파이프라인에 타입을 text로 설정하면 라이노의 text들을 다 가져와 줍니다. 그리고나서 텍스트 오브젝트를 이용하면 텍스트 리스트들이 나옵니다. 텍스트 오브젝트의 플레인을 보면 좌표와 벡터가 나오는데 그걸 포인트로 걸러주면 좌표만 나오게 됩니다. 캐드에서 텍스트 위치를 잡기 위해 사용하면 유용할 겁니다. https://www.food4rhino.com/app/human
2020.03.06 -
[grasshopper]욕실 타일링
오랜만에 글라스호퍼를 다시 하려니 기억도 잘 안 나고 알고리즘 짜내는 것도 잘 안 되는군요~ 아시는 분들은 다 아시겠지만 컴퍼넌트로 로직을 짜게 되면 캔버스가 복잡해지는 현상이 생깁니다. PYTHON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글라스호퍼에서는 VB 와 C#을 기본으로 제공하지만 PYTHON은 다운을 받아서 설치를 해야 합니다. 기회가 되면 다음에 파이썬을 설치하는 포스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진에서 보이는 타일 구하기 컨퍼넌트가 파이썬으로 만들어진 겁니다. 하나의 컴퍼넌트로 되어서 깔끔해 보입니다. 알고리즘을 짜면서 느끼는 점은 아직 구현이 안 되는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저의 실력 부족이죠. 예를 들자면 라이노에 글씨를 나타내는 것이 힘듭니다. 방법을 찾아서 해보긴 했지만 처리해야 될 데이터가 많아지면..
2016.03.17 -
[grasshopper]화장실 타일 전개/산출
글라스호퍼의 컴퍼넌트인 파이썬(python)을 이용해서 재구성해봤습니다. 아직 안 되는 점은 기준점을 잡는 기능은 없습니다. GRASSHOPPER를 이용해서 타일링 하기
2016.03.15 -
[채광률] 레이어 생성 및 지우기
채광률을 반 자동으로 만들기 위해 레이어 구분이 필요했습니다. 하나하나 직접 만들어도 되지만 저는 글라스호퍼를 사용하기에 글라스호퍼에서 자동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원했습니다. 그래서 레이어 생성을 만들었습니다. 글라스호퍼는 정말 좋은 아이디어입니다. 프로그래밍을 시각적으로 하는 것이기에 프로그래밍이 쉬워집니다. 하지만 많은 컴퍼넌트를 사용하게 되면 복잡해서 뭐가 뭔지 알아보기 힘듭니다. 글라스호퍼에서 라이노에 레이어를 생성하려면 human이라는 app을 사용해서 만들수 있습니다. 레이어의 이름과 색상등을 따로 만들려면 그만큼 컴퍼넌트가 많아집니다. 3개의 레이어를 만들려고 저렇게 많은 컴퍼넌트를 만들어야 됩니다. 하지만 python 같은 스크립트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만들수 있습니다. 참 심플해졌습니다. 코..
2015.09.23 -
라이노 텍스트 글라스호퍼에서 인식하기
라이노에서 글라스호퍼로 텍스트를 인식하기 위한 컴퍼넌트가 기본적으로 없습니다.(있다면 알려주세요^^) 그래서 http://www.food4rhino.com/에서 horsterreference라는 app을 사용하거나 프로그램 스크립트(vb,c#,python)을 사용하면 가능합니다. 처음에는 vb를 사용했는데 python이 더 편리해서 python으로 전향했기에 파이썬으로 설명을 하려 합니다. 먼저 라이노에 텍스트를 만듭니다. 글라스호퍼에서 파이썬 컴퍼넌트를 불러옵니다. 파이썬은 글라스호퍼의 기본 컴퍼넌트가 아니기에 http://www.food4rhino.com/에서 다운로드를 받아 사용하면 됩니다. 파이썬을 설치하고 불러옵니다. 그리고 guid를 불러옵니다. guid를 set one guid를 선택해서 텍..
2015.09.22 -
세대 내 일조확보율(채광률) 계산 및 작도
세대 내 일조확보율은 녹색건축인증에 있는 항목 중 하나인데 작업 시간이 엄청 오래 걸립니다. 작업 중 캐드에서 배치도에 부채모양으로 수평거리를 나타내는게 있는데 이 작업이 정말 오래 걸립니다.이걸 좀 더 빠르게 해결하기 위해 글라스호퍼를 사용하였습니다. 글라스호퍼만 사용하여 해결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부분이였습니다. 글라스호퍼 고수들은 가능할지 모르지만 저는 할 줄 아는거만 하기에 글라스호퍼만 사용해서 해결하라고 하면 못 할거 같습니다. 그래서 python이라는 언어로 스크립트를 사용했습니다. 스크립트를 사용하면 글라스호퍼의 한계를 좀 뛰어넘을 수 있고 복잡해지는 글라스호퍼의 캔버스를 좀더 깨끗하게 정리가 됩니다. 단점은 처음 접하기에 어렵게 느껴집니다. 그리고 논리를 계산하면서 시행착오를 많이 거치게 됩..
2015.09.16